etc
posted by Junction 2012. 3. 26. 19:54

상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에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하며 정수형 상수, 실수형 상수, 문자형 상수가있다.

정수형 상수
부호(+,-)와 숫자(8진수, 10진수, 16진수)로 표시하며
8진수는 숫자 '0' , 16진수는 '0x' 혹은 '0X'로 시작하여 표시한다.
출력결과는 10진수 %d, 8진수 %o, 16진수 %x로 표현한다.

정수형 상수는 보통 2바이트의 기억 장소가 할당
부호를 가질 경우에 -2^15 (-32768) ~ 2^15 -1(32767)의 숫자 표현이 가능하다.
정수형 상수와 관계되는 변수형에는 int 외에 short, long 및 unsigned가 있는데short, unsigned는 2바이트, int, long은 4바이트가 할당 된다.

--------------------------------------------------------------------------------------------
실수형 상수
실수형 상수를 표시하는 방법에는 소수점을 이용한 방법과 지수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실수형 상수와 관계되는 변수형에는 float, double, long double이 있으면 4바이트, 8바이트, 10바이트의 기억 장소가 각각 할당된다.

--------------------------------------------------------------------------------------------
문자 및 문자열 상수
하나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형 상수를 표현할 경우 단일 인용 부호(' ')사이에 하나의 문자로 표시
여러 개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 상수를 표현할 경우에는 이중 인용 부호(" ") 사이에 여러 개의 문자를 표시한다.
이때 문자 한 자를 출력 하려고 하면 %c를 문자열을 출력하고자 하면 %s로 형태를 표현한다.
문자형 상수와 관련되는 변수형에는 char가 있으며 1바이트의 기억 장소가 할당된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산자 ( Operator )  (0) 2012.04.02
변수 ( Variable )  (0) 2012.03.27
C프로그래램의 구조  (0) 2012.03.26
private file  (0) 2012.03.25
C 프로그래밍  (0) 2012.03.22
etc
posted by Junction 2012. 3. 26. 18:15

C프로그램의 구조는 header부, main() 함수부 및 기타 함수부로 구성되며
모든 프로그램은 반드시 main() 함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header부에는 프로그램 전역에서 사용될 라이브러리, 매크로, 함수명의 타입 등을 선언한다.

main() 함수부에서 { }는 프로그램의 시작과 끝을 각각 나타내고 모든 실행문은 이 { } 내에 기술된다.

기타 함수부에는 main() 함수에서 호출되는 함수들이 기술된다. 또한 모든 변수의 선언은 함수의 외부와 내부에서 기술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위치에 따라 변수의 유효 범위가 제한된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수 ( Variable )  (0) 2012.03.27
상수 ( Constant )  (0) 2012.03.26
private file  (0) 2012.03.25
C 프로그래밍  (0) 2012.03.22
OS  (0) 2012.03.21
etc
posted by Junction 2012. 3. 25. 19:31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수 ( Constant )  (0) 2012.03.26
C프로그래램의 구조  (0) 2012.03.26
C 프로그래밍  (0) 2012.03.22
OS  (0) 2012.03.21
C언어의 역사와 특징  (0) 2012.03.21